티스토리 뷰
목차
자동차세금은 어떻게 계산될까요?
차량 구매나 소유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차종별·배기량별 자동차세 계산 공식과 실제 예시를 통해 쉽게 설명드립니다.
✅ 자동차세란?
자동차세는 지방세 중 하나로, 차량 소유자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차량의 배기량, 차종(승용/승합/화물), 사용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지며, 6월과 12월에 부과되거나 연납이 가능합니다.
✅ 자동차세 계산 공식
승용차 기준 자동차세 계산은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.
- 배기량(㏄) × 세율(원/㏄) = 연간 자동차세
- 세율은 차종·배기량 구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▶ 차종별 기본 세율표 (2025 기준)
차종 | 배기량 기준 | 세율 (원/cc) |
비영업용 승용차 | 1,000cc 이하 | 80원 |
비영업용 승용차 | 1,000cc 초과 | 140원 |
경차 (1,000cc 이하) | 고정 세액 | 연 100,000원 정액 |
승합차/화물차 | 톤수 기준 | 별도 정액 부과 |
✅ 자동차세 계산 예시
1) 1,600cc 차량 소유 시
▶ 계산식: 1,600cc × 140원 = 224,000원
※ 여기에 교육세 30% 부과 → 224,000 × 1.3 = 291,200원 (최종 납부금액)
2) 980cc 경차 소유 시
▶ 경차는 정액제: 자동차세 50,000원 + 교육세 30,000원 = 총 80,000원
3) 1톤 화물차
▶ 기준: 연 28,500원(지방세) + 교육세 30% = 약 37,050원
✅ 연납 시 할인혜택
매년 1월에 자동차세를 한꺼번에 납부하는 ‘연납 제도’ 이용 시 최대 10% 세금 할인이 적용됩니다.
차량을 오래 보유할 계획이라면 연납이 가장 경제적입니다.
✅ 자동차세 계산 시 주의사항
- 월 단위 일할 계산: 차량을 중도에 팔거나 폐차하면 남은 기간만큼 환급 가능
- 차량 등록일 기준으로 계산 시작됨
- 자동차세 외에도 교육세(30%)가 추가 부과됨
- 전기차, 수소차는 감면 또는 면제 대상 (지자체별 상이)
✅ 자동차세 간편 계산기 이용 TIP
복잡한 계산이 어렵다면 아래 자동차세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.
✅ 마무리 요약
- 자동차세는 배기량 × 세율 + 교육세로 구성
- 경차/전기차는 감면 또는 고정 세액
- 연납하면 최대 10% 할인 가능
- 위택스에서 계산기 및 환급 신청 가능
✅ 함께 보면 좋은 정보글
2026년 최저임금 1만 320원 확정!
2026년부터 적용되는 법정 최저임금이 드디어 결정됐습니다.최저임금위원회는 2025년 7월 10일 제12차 전원회의를 통해, 시간당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2.9% 오른 1만 320원으로 인상하기로 합의했습니
powersun1.com
2025년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시작!
2025년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시작!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이 7월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총 4,456억 원 규모로 확정되었다고 밝혔습니다. 그중 가장 큰 관심을 받
powersun1.com
2025 여름휴가 계곡 추천 BEST 5 [+숨겨진 계속 명소]
요즘 말도 못하게 더운 여름 계곡이 절로 생각나시지 않으시나요? 여름휴가 시즌이 곧 다가오니 시원한 물소리와 자연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계곡 이번 글에서는 가족, 연인, 친구와 함께 떠나기
top1.powersun1.com